구글 애드센스 최적화 ads.txt 파일 유효성 체크하기

이미지
 ads.txt란 광고주와 퍼블리셔 간의 투명성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파일입니다. 사이트 소유자가 자신과 협력 중인 광고 네트워크를 명시하면, 승인되지 않은 광고로 인한 수익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ads.txt가 올바른 파일인지 유효성을 체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ds.txt 파일은 항상 웹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에 있어야 하며 광고 사이트가 읽어갈 수 있게 https://도메인/ads.txt 형태로 존재해야 합니다. google.com, pub-1234567890123456, DIRECT, f08c47fec0942fa0 이러한 형태로 존재 합니다. 항목 설명 google.com: 광고 네트워크 도메인. pub-1234567890123456: 퍼블리셔 ID. DIRECT/RESELLER: 관계 유형. f08c47fec0942fa0: 인증 기관 ID(선택 사항). adstxt guru라는 사이트에서 ads.txt 파일의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https://adstxt.guru/validator/ ads.txt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URL 주소를 입력하거나 ads.txt 파일 업로드 또는 ads.txt 파일 내용을 입력해서 유효성 검증이 가능합니다. 검증 결과를 보시면 ads.txt 파일의 error, warnings, notices 형태로 문제점들을 찾아주게 됩니다. ads.txt 검증이 필요한 이유 해당 파일을 검증하고 정상적인 ads.txt 파일로 사이트를 운영하게 된다면 광고 수익 증대, 브랜드 보호, SEO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디스커버 작동원리 및 메뉴 보이게 하는 방법

이미지
 구글 디스커버 사용 방법 구글 디스커버는 Google Feed라는 브랜드에서 시작해서 Discover로 리브랜딩 되었습니다. 구글 사용자의 관심 분야와 일치도가 높다고 판단하는 콘텐츠를 보여주는 추천 뉴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디스커버가 표시되는 조건을 요약하자면 아래 2가지가 기본 조건일 것 같습니다. - 구글 콘텐츠 정책에 대해 위반 사항이 없을 것 - 글에 대한 '전문성, 권위, 신뢰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블로그에 관련 글들이 많을 것   디스커버에 표시될 확률을 높이려면 - URL 형식을 제목으로 사용(한국은 인코딩이 깨져서 예외일 수 있습니다.) - 고품질 이미지와 눈길을 끄는 썸네일(큰 이미지는 너비 1,200 픽셀) -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제목이나 이미지에 의도적으로 오해를 남겨 인위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전략은 쓰지 않음 - 과한 자극, 19세 콘텐츠는 자제 - 최근 관심 집중 분야나 특색 있는 관점을 가진 콘텐츠 콘텐츠에 눈길을 끄는 고품질 이미지, 특히 디스커버를 통해 방문자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큰 이미지를 포함합니다. 큰 이미지는 너비가 1,200픽셀 이상이어야 하며 max-image-preview:large 설정 또는 AMP를 사용해야 합니다. 사이트 로고는 이미지로 사용하지 마세요. 더 흥미롭게 보이기 위해 미리 보기 콘텐츠(제목, 스니펫 또는 이미지)에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과장된 세부 정보를 사용하거나 콘텐츠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핵심 정보를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인위적으로 참여를 유도하는 전략은 지양합니다. 병적인 호기심, 자극, 격분하는 감정을 충족하기 위해 흥미를 조작하는 전략은 지양합니다. 최근 관심이 집중되는 분야의 콘텐츠를 전달하거나 효과적으로 스토리를 전달하거나 특색 있는 관점을 제공합니다. 더 자세한 디스커버에 대한 정보는 서치콘솔 도움말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https://support.google.com/webmasters/answer/9216516?hl=ko

구글 애드센스 용어 정리 (RPM, CPC, CTR, CTM)

이미지
안녕하세요 구글 애드센스를 이용하시는 블로거, 유튜버 분들 그리고 웹 관리자, 웹 분석 하시는 분들이 알아야 할 광고 페이지 뷰, 광고 금액 산정 용어 등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페이지 RPM, CPC, CTR, CPM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페이지 RPM (Revenue Per Mille) 이란? 정의: 페이지 RPM은 '천 번의 노출당 수익'을 의미합니다. 즉, 특정 페이지가 1,000번 노출될 때 발생하는 수익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 방법: (총 광고 수익 / 총 페이지 조회수) x 1,000 중요성: 페이지 RPM은 콘텐츠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가장 직접적인 지표입니다. 높은 페이지 RPM은 해당 페이지의 콘텐츠가 광고주에게 매력적이며, 방문자들에게도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2. CPC (Cost Per Click) 이란? 정의: CPC는 '클릭당 비용'을 의미합니다. 광고주가 한 번의 클릭에 지불하는 금액을 나타냅니다. 중요성: CPC는 광고 효율성을 측정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낮은 CPC는 광고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높은 CPC는 광고 경쟁이 치열하거나 광고 타겟팅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3. CTR (Click-Through Rate) 이란? 정의: CTR은 '클릭률'을 의미합니다. 광고 노출 대비 클릭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 방법: (클릭 수 / 노출 수) x 100 중요성: CTR은 광고 콘텐츠의 매력도와 타겟팅 정확도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높은 CTR은 광고 메시지가 사용자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광고 타겟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4. CPM (Cost Per Mille) 이란? 최근에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지수입니다. CPM은 광고주가 1,000회의 광고 노출에 대해 지불하는 비용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Mille"는...

MS Office 2013-2024 C2R 무료 설치 및 정품 인증 방법

이미지
MS Office 2013-2014 정품 인증 및 다운로드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Word, Excel, Powerpoint 같은 오피스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 설치형 MS 오피스 프로그램을 2013-2024 버전 중 선택해서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인 C2R Install을 다운로드 하고 오피스 정품인증을 하는 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아래 링크에서 MS Office C2R Install 파일을 먼저 받아줍니다. 용량 자체는 30MB 정도 됩니다. https://ko.taiwebs.com/windows/download-microsoft-office-2021-64-bit-6671.html 압축파일로 다운로드가 진행됩니다. 압축을 해제해야하는데, 암호를 입력해야합니다. [taiwebs.com] 입력해서 압축을 해제해 줍니다. 안에 여러 파일들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 OInstall_x64.exe를 실행해 주시면 됩니다. 인터넷에서 받은 파일로 악성 파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무시하고 실행합니다. MS Office 설치 Office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툴이 실행됩니다. 자신이 원하는 버전과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선택해 주신 후 오른쪽에 언어까지 선택해 주신 다음 Install Office를 클릭해서 설치해 줍니다. 설치가 다 될 때까지 기다려 줍니다. 꽤나 시간이 걸렸습니다. MS Office 정품 인증 Utilities and Settings 탭으로 이동하시면 인증을 할 수 있습니다. Activate Office를 클릭하시면 오피스 프로그램 정품 인증을 자동으로 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다 되셨다면 이제 즐겁게 오피스 프로그램들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특수문자 입력 안될 때 숫자 기호 한자 모음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수문자를 싸그리 모아왔습니다. 복사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기본 문자 ⓪①②③④⑤⑥⑦⑧⑨⑩⑪⑫⑬⑭⑮⑯⑰⑱⑲⑳ ㉑㉒㉓㉔㉕㉖㉗㉘㉙㉚㉛㉜㉝㉞㉟㊱㊲㊳㊴㊵㊶㊷㊸㊹㊺㊻㊼㊽㊾㊿ ❶❷❸❹❺❻❼❽❾❿⓫⓬⓭⓮⓯⓰⓱⓲⓳⓴ ㉠㉡㉢㉣㉤㉥㉦㉧㉨㉩㉪㉫㉬㉭ ㉮㉯㉰㉱㉲㉳㉴㉵㉶㉷㉸㉹㉺㉻ ⒶⒷⒸⒹⒺⒻⒼⒽⒾⒿⓀⓁⓂⓃⓄⓅⓆⓇⓈⓉⓊⓋⓌⓍⓎⓏ ⓐⓑⓒⓓⓔⓕⓖⓗⓘⓙⓚⓛⓜⓝⓞⓟⓠⓡⓢⓣⓤⓥⓦⓧⓨⓩ ㊀㊁㊂㊃㊄㊅㊆㊇㊈㊉ ⑴⑵⑶⑷⑸⑹⑺⑻⑼⑽⑾⑿⒀⒁⒂⒃⒄⒅⒆⒇ ㈀㈁㈂㈃㈄㈅㈆㈇㈈㈉㈊㈋㈌㈍          ㈎㈏㈐㈑㈒㈓㈔㈕㈖㈗㈘㈙㈚㈛          ✁✂✃✄✅✆✇✈✉✌✍✎✏✐✑✒   ✓✔✕✖✗✘✙✚✛✜✝✞✟✠✡✢✣✤✥✦✧ ✨✩✪✫✬✭✮✯✰✱✲✳✴✵✶✷✸✹✺ ✻✼✽✾✿❀❁❂❃❄❅❆❇❈❉❊❋❌❍❎ ❏❐❑❒❓❔❕❖❗❘❙❚❛❜❝❞❟❠❡ ❢❣❤❥❦❧ ❶❷❸❹❺❻❼❽❾❿ ➀➁➂➃➄➅➆➇➈➉ ➊➋➌➍➎➏➐➑➒➓ ➔➕➖➗➘➙➚➛➜➝➞➟➠➡➢➣➤➥➦➧➨ ➩➪➫➬➭➮➯➰➱➲➳➴➵➶➷➸➹➺➻➼➽➾ ☀☁☂☃☄★☆☇☈☉☊☋☌☍☎☏☐☑☒☓ ☚☛☜☝☞☟☠☡☢☣☤☥☦☧☨☩☪☫☬☭☮☯ ☰☱☲☳☴☵☶☷☸☹☺☻☼☽☾☿♀♁♂ ♃♄♅♆♇♈♉♊♋♌♍♎♏♐♑♒♓ ♔♕♖♗♘♙♚♛♜♝♞♟ ♠♡♢♣♤♥♦♧♨♩♪♫♬♭♮♯♰♱ ㄱ+한자키  ! ' , . / : ; ? ^ _ ` |  ̄ 、 。 · ‥ … ¨ 〃 ­ ― ∥ \ ∼ ´ ~ ˇ ˘ ˝ ˚ ˙ ¸ ˛ ¡ ¿ ː ㄴ+한자키  " ( ) [ ]...